양도소득세란, 내가 가진 재산을 팔면서 생긴 이득에 대해 지불하는 세금이다.
집값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일환으로 21년 6월에 양도소득세율이 굉장히 올랐습니다. 양도소득세란 무엇이고 부동산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양도(讓渡)란 남에게 건네준다는 의미입니다. 소득은 물질적 이득입니다. 즉, 양도소득이란 남에게 자신의 물건을 건네줌으로써 얻는 물질적 이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쉬운 말로 자신의 재산을 팔아 얻는 수익입니다.
양도소득을 간단한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과거의 제가 서울에 있는 5억의 아파트를 구매해 살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집을 다른 사람에게 10억에 팔았다고 해보죠. 그럼 제가 양도를 하면서 얻는 수익은 5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설명드리지 않겠습니다. 🤫 )
실제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위 예시보다는 더 복잡합니다. 하지만 간단하게 생각하면, 재산을 양도하면서 발생한 수익을 계산하고 각종 공제를 빼신 다음에 양도소득세율을 곱하면 끝입니다. 계산이 복잡해지는 이유는 사람들마다 공제를 받는 정도와 비율이 다르고 소득세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양도소득세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12270&cntntsId=8639
양도소득세가 높아지면, 집을 팔아 수익을 얻으려는 사람들은 쉽게 집을 팔 수 없게 됩니다. 왜냐하면 세금을 많이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동산 투기 열기가 조금 가라앉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글을 쓰는 21년 11월 현재 부동산 매물이 적어져 단기적으로 집값과 전셋값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니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양도소득세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양도소득세는 내 재산을 팔 때 생기는 이득에 대해 지불하는 세금이다.
- 양도소득세율이 높아지면 재산을 팔 때 내는 세금이 많아진다.
- 양도소득세는 각종 공제와 양도소득세율을 계산하는 조건이 복잡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 법칙이란, 내 돈은 언제 두배가 될까? (0) | 2022.01.16 |
---|---|
기준시가가 오르면 양도세를 더 많이 내는 이유 (1) | 2021.11.21 |
관세란, 어려운 용어 쉽게 풀어보기 (0) | 2021.11.15 |
용적률이란, 어려운 용어 쉽게 풀어보기 (0) | 2021.11.13 |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란? 어려운 용어를 쉽게 풀어보기 (0) | 2021.11.11 |